-
국민연금은 정부가 직접 운영하고 있는 공적 연금제도중에 하나인데 흔히 노후대비를 위해서 들어놓는 것들 중에 하나입니다. 아마 뉴스에서 국민연금 관련해서 소식이 최근에 시끄러웠던걸 기억하시는 분들이 많을 것 같은데요.
국민연금이라는 거대자본을 가진 괴물이 투자하는걸 따라 가다보면 떨어지는 콩고물을 먹었던 옛날과 달리 투자하는 족족 실패하다보니 적자가 나게 되고 그래서 내가 낸 돈을 돌려 받을 수 없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공무원 연금에서 땡겨쓴다고 하지만 공무원 연금도 아마 부족할 거 같은데요.
연금이란 제도가 참 좋았으나 요즘에는 많은 이야기가 나오고 있고 앞으로 어떻게 될지 궁금합니다.
국민연금의 납부 금액은 기준소득월액에 보험요율(9%)만큼을 내게 되는데, 사업장 가입자의 경우에는 본인과 사업장의 사업자가 각각 절반씩을 매월 부담하고, 지역가입자의 경우에는 가입자 본인이 전액을 부담합니다.
기준월소득액이란 최저 29만원에서 최대 449만원 까지의 범위인데 신고한 소득이 29만원 미만이라도 최저 29만원을 버는셈 치고 449만원을 초과하여서 벌어도 449만원을 버는셈 치고 기준으로 정합니다.
내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를 함으로서 납입기간에 따른 예상수령액 계산이 가능합니다. 또한 국민연금공단에서는 내 연금 관련해서 다양한 정보들을 얻을 수가 있습니다.
국민연금은 만 55세가 넘고, 불입기간 즉 돈을 낸 기간이 20년이 넘으면 연금을 탈 수 있습니다. 매월25일에 들어오게 되고 혹시나 본인이 사망하더라도 배우자에게 60%정도의 연금이 나옵니다.
1. 내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
먼저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확인하기 전에 사이트를 꾸민다고 아주 컬러풀하고 화려하게 꾸며놓아서 오히려 원하는 메뉴를 찾기가 더 어렵습니다. 순서대로 따라하지 않으면 거의 던전에 갇히는 수준이니 차근차근 따라가면 됩니다.
사이트 중간쯤 보면 자주찾는 민원서비스라는 탭이 있는데 클릭합니다.
내 연금 알아보기가 뜨는데 바로 알아보기를 눌러서 들어갑니다.
밑으로 살짝 내려보면 예상연금액 조회라는 네모칸이 있는데요. '본인이 만 60세 이후 받을 예상연금액을 알압로 수 있습니다'라고 적혀있네요.
왜 예상연금액이라는 표현을 쓰냐면 납부하는 금액이 변할 수도 있으며 물가 수준에 따라서 수령액이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지금 기준에 대충 얼마를 받을 수 있는가에 대해서 찾아보는 것 입니다.
단 이렇게 조회를 하려면 공인인증서로 로그인하는 과정이 필요한데요. 만약 공인인증서가 없다면 아래의 방법을 따라서 해보시기 바랍니다.
예상연금을 계산기로 모의계산해볼 수 있습니다. 아까 자주 찾는 민원서비스에서 내 연금 알아보기로 들어왔을 때 가장 위에 있는 메뉴입니다.
본인이 얼마를 언제부터 얼마동안 냈는지만 알고 있다면 굳이 공인인증서를 거치지 않아도 예상수령액 계산은 가능합니다.
생년월일, 국민연금 최조 가입년월, 최종 상실년월, 예상소득상승률 등을 입력하면 되는데요. 예상소득 상승률은 0, 10, 20을 넣어서 각각 계산해보고 대충 최소 금액은 이정도고 최대 금액은 이정도이며 평균적으로는 이정도를 받을 수 있겠구나 생각하시면 될 듯합니다.
크레딧 대상 입력이란 칸에서는 출산정보가 있는데 2008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이전과 이후를 나누어서 입력하게 되어 있네요. 남성이라면 군 복무 또한 08년 1월 이후에 군복무를 했는지 체크하는 란이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에 따라서 국민연금이 조금씩 달라지는 듯 합니다.
결과물을 위해서 대충 입력한 정보의 계산 결과입니다. 60년생이 21살부터 41년간 연금 납부를 했고 노령 연금액은 154만원으로 소득상승률 1%의 경우 미래 가치로 175만원쯤 해당한다고 합니다.
계산내역에 A값과 B값이 나오는데 자세한 계산식이나 정보를 보고 싶다면 ?를 눌러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