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동차를 처음 구매하는 분들이 당황하는 것중에 하나가 바로 자동차 세금이 아닐까 하는데요. 취등록세 이외에도 1년마다 매년 세금을 내야 하는 사실을 모르는 분들이 많습니다.
왜 이렇게 확신을 하냐면 제가 바로 모르는 사람중에 한명이였습니다. 그리고 세금을 내는 것은 알더라도 자동차 세금을 내고 난 뒤에 일정 기간이 지나면 지속적으로 할인이 되는 것도 아마 모르는 분들이 많을 것 같네요.
자동차 세금 계산법은 차량의 cc도 중요하지만 어떤 차량인지, 영업용인지 비영업용인지 등 다양한 이유에 따라서 나누어져 있기에 자동차 세금 계산기로 계산하는 것이 더 편리합니다.
하지만 그 전에 어떤 식으로 계산이 되는지는 알아야 내가 내는 세금이 정확한지, 왜 내야 하는지 알 수가 있습니다. 아무 사이트나 들어가서 확인해도 됩니다만 저는 2곳의 사이트를 준비 했고 개인적으로는 첫번째가 좀 더 깔끔해 보이네요.
자동차세금 계산법 1
첫번째는 카눈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좌측 상단의 메뉴 버튼을 클릭합니다.
자동차세를 클릭합니다.
승용/승합/화물/특수/3륜이하소형 그리고 용도는 영업용과 비영업용, 배기량을 입력하고 최초등록일은 년도와 상하반기를 선택하고 계산버튼을 누릅니다.
저는 기본적으로 등록되어 있는 정보로 계산을 한 결과를 보았습니다.
연간 기준 세액은 승용, 비영업용, 배기량 1,998cc 기준에 교육세 30% 포함해서 519,480원이며 선납시에는 할인을 받을 수 있고 상반기와 하반기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자동차 세금 계산법은 여기서부터라고 보면 되는데 승용자동차의 경우 배기량에 따라서, 비영업용과 영업용에 나눠서 cc당 금액을 책정하고 있으며 전기자동차의 경우에는 배기량 없이 비영업용과 영업용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승합자동차의 경우 소형, 대항, 소형전세, 대형전세, 고속버스와 비영업용과 영업용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화물자동차는 적재량과 영업용, 비영업용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특수 자동차 역시 소형과 대형 그리고 동일하며 3륜이하 소형자동차의 경우에는 비영업용과 영업용으로만 나뉘어져 있네요.
그리고 앞서 계산기때 눈썰미 좋은 분들은 보셨겠지만 년 수가 지나갈 수록 할인이 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3년이 되는 순간 5%, 그 후 1년마다 5%씩 할인이 추가되며 12년 이후로는 50%로 고정입니다.
장애인 감면의 경우에는 비영업용 승용자동차인 경우에 조건에 해당하면 신청하는 1대에 한하여 면제가 됩니다.
자동차세금 계산법 2
두번째는 cartok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홈페이지화면에서 자동차세 계산기와 자동차세를 확인합니다.
계산기는 앞의 카눈과 똑같았으나 위의 자동차 세금 계산기가 조금 더 깔끔하고 보기 좋았던 것 같네요.
자동차세금 계산법 역시도 표로 같이 정리가 되있으나 보기 편한 것으로 선택해서 보면 될 것 같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