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쌀 1되는 몇키로(kg), 쌀 한되는 몇키로(kg)
    잡학

    쌀의 무게를 측정할 때 자주 사용되는 단위가 말과 되인데요, 이는 주로 부피를 나타내는 전통적인 단위입니다. 1말은 10되로 구성되어 있고, 1되는 약 1.8리터에 해당합니다. 이 단위는 물과 같이 밀도가 일정한 액체에 적용했을 때, 1되는 정확히 1.8kg의 무게를 가집니다. 하지만 쌀의 경우는 물과는 다릅니다. 쌀의 밀도와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1되는 쌀은 약 1.6kg 정도로 계산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쌀의 1되는 쌀의 종류나 습도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보통 1.6kg을 기준으로 사용합니다. 이 수치는 쌀이 상대적으로 건조하고 밀도가 낮기 때문에, 물과 비교했을 때 부피는 동일하지만 무게는 약간 가볍습니다. 그래서 쌀 1말은 약 16kg로 계산되고, 그 한 단위인 1되는 약 1.6kg으로 계산하는 것이 표준이죠.

     

    여기서 또 하나 등장하는 단위가 됫박입니다. 됫박은 1되에 해당하는 양을 담는 전통적인 용기로, 농업 사회에서 쌀이나 곡물을 측정할 때 자주 사용되었습니다. 즉, 쌀 1되를 정확히 측정하려면 됫박을 사용해 부피를 잰 다음 그 양을 기준으로 무게를 재면 되죠. 됫박은 예전부터 농촌에서 흔히 볼 수 있었고, 쌀을 거래하거나 분배할 때 정확한 기준으로 사용되곤 했습니다.

     

    말, 되, 됫박은 모두 부피를 기준으로 하는 단위이지만, 쌀과 같은 고체를 재는 데도 유용하게 쓰입니다. 특히 농촌에서는 쌀을 거래하거나 분배할 때 이 단위를 기준으로 많이 사용했습니다. 예를 들어, 쌀 1말은 10되, 즉 10됫박이 되고, 이를 기준으로 하면 쌀 1말은 약 16kg 정도로 계산됩니다.

     

    예전에는 이 단위를 사용해 쌀의 양을 가늠하고, 거래에서 중요한 기준으로 삼았습니다. 지금은 대부분 kg 단위로 무게를 잴 수 있지만, 여전히 농촌 지역이나 쌀 관련 거래에서는 말과 되라는 단위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특히 쌀을 대량으로 거래할 때, 몇 말이라는 표현을 흔히 사용하죠.

     

    결국, 쌀 1되는 약 1.6kg이고, 1말은 10되이므로 16kg입니다. 이러한 전통적인 단위는 쌀을 비롯한 곡물 거래에서 오랫동안 쓰여왔으며, 현대에도 종종 사용되는 만큼, 그 기준을 알고 있으면 유용하게 쓸 수 있습니다.

     

     

     

    쌀 1되는 몇키로(kg), 쌀 한되는 몇키로(kg)

     

    쌀 1되는 몇키로(kg), 쌀 한되는 몇키로(kg) 바로가기 👉

     

    1. 1되의 정확한 개념을 설명하자면, 되는 부피를 측정하는 단위로, 쌀이나 곡식, 액체 등을 재는 데 사용됩니다. 1되는 약 1.8039 리터의 부피를 차지하며, 10홉이 1되, 10되가 1말이 됩니다. 즉, 되는 부피의 단위로, 정확히는 1.8039리터입니다. 하지만 쌀의 경우, 부피가 아닌 무게로 환산할 때 1되는 약 1.5kg 정도로 계산됩니다.

     

     

    2. 국어사전에 따르면, 되는 곡식이나 가루, 액체 등을 담아 그 양을 헤아리는 데 쓰이는 그릇을 의미합니다. 이 그릇의 용량이 바로 1되입니다. 즉, 되의 크기만큼 담긴 양을 뜻하는 것이죠.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쌀이나 곡식을 말할 때 주로 쓰이는 단위입니다.

     

    3. 예를 들어, 쌀 1되는 약 1.5kg 정도이며, 이는 곡물의 밀도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수치입니다. 이러한 단위는 농경 사회에서 곡물의 양을 쉽게 재기 위해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습니다.

     

     

    4. 흔히 사용되는 예시로는 쌀 한 되, 밀가루 한 되 같은 표현이 있으며, 이때 됫박이라는 그릇을 사용하여 그 양을 재기도 합니다. 됫박은 되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전통적인 그릇으로, 특히 농촌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