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지번 주소 도로명 주소 변환
    잡학
    어떤 지도 어플을 쓰던 간에 요즘은 지번 주소와 도로명 주소가 함께 표시됩니다. 이 변화는 약 10년 전부터 시작되었는데, 처음에는 도로명 주소가 익숙하지 않았지만 이제는 많은 사람들이 더 익숙해졌습니다. 그래도 아직도 도로명 주소의 구조를 이해하기 어려운 분들이 많아요.

     

    도로명 주소는 도로와 건물 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주소 체계입니다. 예를 들어,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110"과 같이 도로명을 기준으로 주소를 표기합니다. 반면, 지번 주소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1-1"처럼 토지 구획을 기반으로 합니다.

     

    도로명 주소의 구조는 크게 도로명, 건물 번호, 그리고 추가적으로 필요할 때는 건물 이름이나 층수를 포함합니다. 도로명은 길의 이름을 의미하고, 건물 번호는 도로를 기준으로 차례로 부여된 번호입니다. 짝수 번호는 도로의 오른쪽, 홀수 번호는 도로의 왼쪽에 위치합니다.

     

    지번 주소와 도로명 주소를 변환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대부분의 지도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네이버 지도나 카카오맵, 구글 지도 등을 사용하면 됩니다. 지도에서 원하는 위치를 검색하면 지번 주소와 도로명 주소가 함께 표시됩니다. 또한, 이들 어플리케이션은 주소 변환 기능을 제공하여 지번 주소를 입력하면 도로명 주소를, 도로명 주소를 입력하면 지번 주소를 보여줍니다.

     

    지번 주소와 도로명 주소의 변환이 필요할 때는 이러한 지도 어플을 활용하면 편리합니다. 특히, 도로명 주소가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두 주소 체계를 모두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익숙하지 않더라도 자주 사용하다 보면 점점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거예요.

     

    아래의 사진을 보면서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지번 주소 도로명 주소 변환

     

    지번 주소 도로명 주소 변환 바로가기 👉

     

    1. 가장 간단한 방법은 바로 주소를 검색창에 입력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백현동 532"라는 지번 주소를 입력하면, 결과로 "판교역로 166"이라는 도로명 주소가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이 주소는 카카오 본사의 주소입니다.

     

     

     

    2. 반대로 "판교역로 166"이라는 도로명 주소를 검색창에 입력하면, "백현동 532"라는 지번 주소가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두 가지 주소를 쉽게 변환할 수 있어요.

     

    3. 다른 방법으로는 카카오맵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카카오맵은 다양한 주소 정보를 제공하니까 유용해요.

     

    4. 카카오맵에 접속한 후, 주소를 확인하고 싶은 곳을 검색합니다. 검색창에 주소를 입력하고 결과를 확인하세요.

     

     

     

    5. 검색 결과에서 도로명 주소와 지번 주소가 함께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두 가지 주소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어요. 한 가지 궁금한 점은 기존에 주소가 없던 곳에 건물이 새로 들어서면 도로명 주소만 생기는지, 지번 주소도 함께 생기는지에 대한 점인데요. 일반적으로 새로운 건물이 들어서면 두 가지 주소가 모두 부여됩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