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누리집은 홈페이지의 순 우리말로, 많은 사람들이 혼동할 수 있지만, 결국 같은 의미입니다. K패스 누리집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며, 아래와 같은 메뉴를 통해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K패스 누리집의 주소는 korea-pass.kr입니다. 누리집에는 여러 가지 메뉴가 있습니다. 먼저, 사업소개 메뉴에서는 K패스의 전반적인 사업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메뉴를 통해 무엇인지, 어떤 목적을 가지고 운영되는지에 대해 알 수 있습니다.
이용안내 메뉴는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여기에서는 카드의 사용 방법, 혜택, 충전 방법 등을 자세히 안내합니다. 이 메뉴는 처음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K패스 카드 메뉴에서는 카드의 종류와 발급 방법에 대해 안내합니다. K패스 카드는 후불과 선불, 실물과 모바일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며, 이 메뉴를 통해 자신에게 맞는 카드를 선택하고 발급받는 방법을 알 수 있습니다.
공지사항 메뉴는 K패스와 관련된 최신 소식과 공지사항을 확인할 수 있는 곳입니다. 이 메뉴를 통해 새로운 혜택이나 이벤트, 시스템 업데이트 등의 정보를 빠르게 얻을 수 있습니다.
문의하기 메뉴는 이용 중 궁금한 점이나 불편 사항을 문의할 수 있는 곳입니다. 이 메뉴를 통해 문의를 남기면, K패스 측에서 답변을 받을 수 있습니다.
K패스 누리집은 회원 가입, 카드 전환, 후불 및 선불 교통카드 발급 안내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이용자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다양한 혜택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누리집을 적극적으로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k패스 누리집
먼저 k패스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공식 홈페이지가 쉽게 검색되기에 해당 링크를 통하여 들어가면 됩니다.
메인 화면입니다. 전국 189개 지자체에서 참여 중인 대한민국 대표 교통카드로서, 교통비의 20~53%를 적립해주는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상단 메뉴에서는 사업소개, 이용안내, K-패스 카드, 공지사항, 문의하기 등의 섹션을 찾을 수 있습니다.
언제나 어디서나 k패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문구와 함께, 대중교통 대표 수단인 버스와 지하철을 형상화한 로고가 보입니다. 전국의 지자체를 하나로 묶어 대한민국 대중교통의 활성화를 응원하는 의지를 표명하고 있습니다.
참여 자격은 지자체에 주민등록상 등록된 만 19세 이상의 주민이 지원 대상입니다. 이 사업은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큰 혜택을 제공합니다.
적립 수단은 전국 모든 대중교통(버스, 지하철, 신분당선, 광역버스, GTX 등)을 포함하며, 시외(고속)버스, KTX, SRT 등 별도 발권하여 탑승하는 교통수단은 포함하지 않습니다.
지급 기준은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최대 60회까지 지급됩니다. 월 첫 달은 15회 미만 이용 시에도 지급됩니다. 월 60회 초과 이용자는 이용금액이 높은 순으로 60회까지 지급되며, 월 대중교통 이용금액 20만 원 초과 시 초과 이용금액에 대해서는 50%만 적용하여 지급합니다.
적립률은 일반 사용자에게는 20%가 적립되며, 만 19~34세 청년은 30%,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저소득층은 53%가 적립됩니다.
K-패스 참여 지역은 17개 시도 189개 시군구에서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서울, 경기도, 인천, 충청북도, 충청남도, 대전, 전라북도, 전라남도, 광주, 경상북도, 경상남도, 부산, 울산, 대구, 제주 등이 포함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