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성일을 기준으로 아직 장마 기간에 대한 정확한 이야기가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이전의 장마 기간을 보면 2024년 장마 기간에 대해 예상해보면, 기상청의 장마 통계를 참고할 수 있습니다. 한국의 장마는 일반적으로 6월 하순부터 7월 하순까지 이어지며, 이는 기상학적으로 장마전선의 영향을 받아 지속적으로 비가 오는 시기를 의미합니다. 최근 몇 년간의 데이터를 보면 장마 시작과 종료일에 약간의 변동이 있지만, 전반적인 패턴은 유사합니다.
예를 들어, 2022년 장마는 6월 23일에 시작해 7월 26일에 종료되었고, 2021년 장마는 6월 24일에 시작해 7월 29일에 종료되었습니다. 이와 같이, 매년 장마 시작과 종료 시기는 며칠 차이로 비슷한 패턴을 보입니다.
기상청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장마 기간은 평균적으로 30일에서 40일 정도 지속되었습니다. 또한, 10년간의 데이터를 보면 장마 기간 동안의 평균 강수량은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비슷한 범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2024년 장마도 이와 비슷한 시기에 시작하고 종료될 것으로 예상되며, 기후 변화에 따라 약간의 변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정확한 장마 기간과 시작 및 종료일은 기상청의 예보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2024년 장마에 대한 최신 정보는 기상청 홈페이지 또는 기상자료개방포털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사이트들에서 지역별 장마 시작일, 종료일, 강수량 등의 상세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장마 기간 동안의 날씨 변동을 대비해 미리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4 장마 기간 예상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이곳에서는 종관, 자동지상관측, ASOS, AWS, 레원존데, 윈드프로파일러, 고층관측, 부이, 등표, 파고부이, 해양관측, 한반도, 지점정보, 자료설명, 조회 안내 등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홈페이지 상단 메뉴에서 기후통계분석 - 통계분석 - 장마를 클릭하여 이동합니다.
자료설명: 장마는 우리나라에서 6월 하순부터 7월 하순까지 계속해서 많이 내리는 비로, 기상학적으로는 장마전선의 영향을 받아 비가 오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지역/지점의 지역은 전국 및 광역 단위의 평균을 제공하며, 1973년부터의 데이터를 포함합니다. 검색조건에서 기간과 비교년도를 설정할 수 있는데, 저는 2011년부터 2024년까지의 데이터를 선택했으며 비교년도는 2023년으로 설정했습니다.
장마평년값 CSV Excel 조회 자료 결과는 지역, 시작일, 종료일, 기간(일), 강수일수(일), 평균강수량(mm)을 포함합니다. 중부지방의 경우 시작일은 6월 25일, 종료일은 7월 26일, 기간은 31.5일, 강수일수는 17.7일, 평균 강수량은 378.3mm입니다. 남부지방은 시작일이 6월 23일, 종료일은 7월 24일, 기간은 31.4일, 강수일수는 17.0일, 평균 강수량은 341.1mm이며, 제주지방은 시작일이 6월 19일, 종료일은 7월 20일, 기간은 32.4일, 강수일수는 17.5일, 평균 강수량은 348.7mm입니다.
전국 강수량과 강수일수를 보면 최근 13년간의 데이터를 통해 대략적인 예상을 할 수 있는데, 장마 기간은 제일 길면 30일 가까이 되고, 짧으면 10일을 간신히 넘는 경우도 있습니다.
지역별 평균 강수량 계급일수는 중부, 남부, 제주도, 전국으로 나누어 일강수량 80mm 이상일 수와 1시간강수량 30mm 이상일 수를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중부지방에서 일강수량 80mm 이상일 수가 가장 많았던 해는 2011년(3.4일), 1시간강수량 30mm 이상일 수가 가장 많았던 해는 2017년(2.5일)입니다.
전국 평균 강수량 및 강수일수 데이터에 따르면, 가장 많은 강수량을 기록한 해는 2020년으로 696.5mm였고, 가장 많은 강수일수는 2020년으로 28.5일이었습니다. 가장 적은 강수량을 기록한 해는 2014년으로 146.2mm였고, 가장 적은 강수일수는 2021년으로 9.9일이었습니다. 2023년의 강수량은 662.9mm, 강수일수는 22.2일이었습니다.
지역별 평균 강수량 및 강수일수를 보면, 중부지방에서는 가장 많은 강수량을 기록한 해는 2020년으로 856.1mm였고, 가장 많은 강수일수는 2020년으로 34.9일이었습니다. 남부지방에서는 가장 많은 강수량을 기록한 해는 2023년으로 712.6mm였고, 가장 많은 강수일수는 2020년으로 23.9일이었습니다. 제주도에서는 가장 많은 강수량을 기록한 해는 2020년으로 591.8mm였고, 가장 많은 강수일수는 2020년으로 29.5일이었습니다. 2023년의 강수량과 강수일수는 각각 594.1mm와 20.6일(중부), 712.6mm와 23.3일(남부), 426.4mm와 21.5일(제주)였습니다.
지역별 시작일 분석을 보면, 중부지방에서는 장마가 가장 빨리 시작한 해는 2013년 6월 17일이었고, 가장 늦게 시작한 해는 2021년 7월 3일이었습니다. 남부지방에서는 가장 빨리 시작한 해는 2011년 6월 10일이었고, 가장 늦게 시작한 해는 2021년 7월 3일이었습니다. 제주도에서는 가장 빨리 시작한 해는 2020년 6월 10일이었고, 가장 늦게 시작한 해는 2021년 7월 3일이었습니다. 2023년의 시작일은 중부 6월 26일, 남부 6월 25일, 제주 6월 25일이었습니다.
지역별 종료일 분석을 보면, 중부지방에서는 장마가 가장 빨리 종료된 해는 2018년 7월 11일이었고, 가장 늦게 종료된 해는 2020년 8월 16일이었습니다. 남부지방에서는 가장 빨리 종료된 해는 2018년 7월 9일이었고, 가장 늦게 종료된 해는 2013년 8월 2일이었습니다. 제주도에서는 가장 빨리 종료된 해는 2018년 7월 9일이었고, 가장 늦게 종료된 해는 2020년 7월 28일이었습니다. 2023년의 종료일은 중부 7월 26일, 남부 7월 26일, 제주 7월 25일이었습니다.
지역별 기간 분석을 보면, 중부지방에서 장마가 가장 길었던 해는 2020년으로 54일이었고, 가장 짧았던 해는 2018년으로 16일이었습니다. 남부지방에서는 가장 길었던 해는 2013년으로 46일이었고, 가장 짧았던 해는 2018년으로 14일이었습니다. 제주도에서는 가장 길었던 해는 2020년으로 49일이었고, 가장 짧았던 해는 2021년으로 17일이었습니다. 2023년의 장마 기간은 중부 31일, 남부 32일, 제주 31일이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