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아파트 관리비 조회
    잡학

    주택과 아파트의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한다면 바로 관리비가 아닐까 싶은데요. 원룸이나 오피스텔에 살아도 관리비를 내긴하지만 저는 주택에 산지 꽤 오래 되어서 관리비가 나간다고 하면 괜히 아까울 것 같기도 하네요.


    관리비에는 엘레베이터나 분리수거, 경비와 같은 부분들이 포함되어 있고 아파트 마다 전부 다 다르게내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내가 살고 있는 아파트의 관리비를 도대체 어떻게 조회를 한다는 건가? 라고 생각했었는데 전국에 있는 모든 아파트들의 관리비 조회가 가능했고 아파트별로, 지역별로 비교도 가능했습니다.


    본래는 자동이체 신청 및 해지 방법도 넣으려고 했으나 말미에 간단하게 설명만 하겠습니다.


    아파트 관리비 조회


    아파트 관리비 조회라고 검색을 해서 곡토교통부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 K-apt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저는 검색으로 들어갔기에 바로 아파트 관리비 조회하는 페이지로 연결이 되었는데요.


    한가지 신기했던 점은 울릉도와 독도까지 나와 있길래 울릉도와 독도에 아파트가 있나? 라는 생각을 했는데 아파트가 있지는 않았지만 우리나라의 영토이기에 표시가 되어 있던 것이였습니다.



    저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 LG개포자이아파트의 관리비를 알아보려고 클릭했습니다.




    우리단지총액이 나오고 우리 단지 단가, 전년 동월과 비교 전월과 비교등이 있습니다. 잘린 부분은 아래 사진으로 따로 추가했는데요.



    아파트 전용면적에 따라 관리비가 얼마인지에 대해서 나와 있습니다. 큰 집에서 살고 있을 수록 관리비도 더 올라가네요.



    관리비 통계부분도 한번 들어가서 확인해봤는데 전국의 공급유형별로 매달마다 원/m2로 평균이 얼마인지 나와 있었습니다.


    100m2의 경우에 임대 전국 기준으로 한다면 약 12만6천원 정도가 되겠네요.


    그 외에도관리형태별, 난방방식별, 층수별, 복도유형별, 공동주택유형별, 세대수구간별로 나누어져 있는데 저는 층수별로도 관리비가 나뉘는지 처음알았습니다.



    층수별로 관리비가 달라진다기에 엘레베이터가 1층부터 고층까지 올라가야 하니 고층이 더 높은건가? 라고 생각했는데 의외로 중층이 가장 관리비가 높았습니다.


    중층 > 초고층 > 고층 > 저층 순으로 관리비가 되어 있는데 이 부분은 왜 이런건지 조금 궁금해지긴 하네요.



    마지막으로 관리비정보 탭을 보면 특정단지와 비교, 맞춤형 비교, 맞춤형 통계, 전국 및 시도 평균 비교가 있는데 필요한 기능들 유용하게 사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아파트 관리비 자동이체의 경우에는 자동이체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 은행 홈페이지, 모바일, 전화 등으로 관리비 자동이체 신청과 해지를 할 수 있습니다.


    모든 은행에 대해서 알려드릴 수 없기에 대부분의 은행은 해당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찾기가 어려우시다면 고객센터에 전화하는 방법을 이용하시면 될 것 같네요.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