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신청방법, 자격 등
    잡학

    최근 청년내일채움공제에 관심이 많은데요. 청년내일채움공제는 2019년 하반기 신규 취업자를 위한 것이며 재직자의 경우에는 내일채움공제,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내일채움공제는 2년형, 3년형으로 나누어서 1,600만원/3,000만원 + 이자를 받는 것이였다면 재직자의 경우에는 조금 다릅니다.




    내일채움고제와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재는 나누어져 있으며 따로 설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저도 둘 사이에 무슨 차이가 있는지 궁금하네요.


    가입자 혜택은 어떻게 되는지, 공제부금 납부 방법, 납부 유예 상황, 선납은 가능한지 등 다양하게 정리했습니다.


    내일채움공제 +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청녀재직자 내일채움공제를 검색해서 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좌측에 보이는 것은 신규입사자를 위한 것이며 우측이 재직근로자를 위한 공제입니다.



    들어가자마자 팝업으로 뜨는 공지사항에 2020년 재직자 내일채움공제는 2020년 1월 6일 오전9시 부터라고 하네요.



    내일채움공제 먼저 설명을 하면 적립, 이자+복리, 보상금, 성장 이라는 과정으로 중소기업/중견기업 사업주와 핵심인력이 공동으로 적립한 공제금을 가입기간(5년)에 따라 장기 재직한 핵심인력에게 성과보상금 형태로 지급하는 공제입니다.



    기업은 읽어보시고 저는 재직자 기준으로 설명을 할까 합니다.


    5년 만기 시 본인 납입금 대비 3배 이상(세전) 수령 가능하며 기업 납입금에 대한 근로소득세의 50%(중견기업 30%) 상당 감면이 된다고 합니다. 단, 해당기업의 최대주주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람은 제외된다고 하네요.



    공제부금은 사업주와 핵심인력이 5년간 최소 2,000만원 이상(매월 34만원 이상), 1만원 단위로 공동납입하며 핵심인력과 사업주가 1:2 이상의 비율로 납부합니다.


    자동이체는 5, 15, 25일 중에 선택하여 가능하며 지정일에 미납 될 경우 다음 납부일 까지 총 2회에 한하여 자동이체로 수납됩니다.



    공제계약 기간 중 납입금액의 변경이 가능한데 온라인은 공인인증서를 가지고 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에서 신청 가능하며 방문신청은 관할지역본(지)부 담당자에게 공제부금 변경 신청서를 제출하면 됩니다.



    공제계약이 성립되면 선납도 가능한데 최소 1개월분 이상의 납입금 합계액 부터 선납이 가능하며 최대 잔여 공제계약기간이내의 월 납부듬의 합계금액 만큼 선납이 가능합니다.


    납부유예에 관해서도 나와있는데 병력의무 이행, 질병 및 상해, 재해, 육아휴직 등이 있으며 각각의 유예 기간이 다르니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공제계약 성립 후 5년이상 해당 중소기업에 재직한 경우에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를 받을 수 있는데요.


    공제금 총액은 중소기업 기여금 + 핵심인력 납부금 + 복리이자(연복리) 이며 기간연장은 불가능하고 공제금 수령 이후에 기간을 3~5년 선택적으로 재가입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이름이 조금 헷갈리긴 하네요. 내일채움공제와 다르게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는 취업, 적립, 보상금, 성장이라는 과정을 거칩니다.


    청년근로자는 만15세 이상 34세 이하, 6개월 이상 재직 중인 정규직 근로자이며 공동으로 정립한 공제금을 가입기간(5년)에 따라 장기재직한 청년근로자에게 성과보상금 형태로 지급하는 공제입니다.



    청년은 5년간 최소 월 12만원 , 기업은 최소 월 20만원을 5년간, 정부는 3년간 7회 분할로 1,080만원을 적립하는데요.



    본인납입이 720만원, 기업납입이 1,200만원, 정부지원이 1,080만원이 됩니다.


    내일채움공제,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신청 방법



    신청은 가장 처음 들어갔었던 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에서 가능한데요.


    최상단의 탭이 신규입사자, 재직근로자, 기업으로 나누어져 있으니 본인에 맞게 잘 선택하시고 청약 버튼을 눌러 신청할 수 있습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