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동안 햄버거집에서 카카오페이로 결제하면 1+1이거나 할인이 꽤 많이 되어서 사용을 했고 최근에는 편의점에서 맥주를 살때 카카오페이로 결제를 하면 캐시백을 해준다고 해서 가끔씩 이용하고 있습니다.
사실 어디서나 사용 가능한 삼성페이를 따라올 수는 없어서 인터넷 결제 할때나 이런 행사가 있을 때 가끔 사용을 하는데요.
저도 처음에는 삼성페이 생각하고 있다가 사용법이 조금 달라서 편의점에서 당황했었습니다. 다행히 이리저리 금방 만져서 결제하고 나올 수 있었지만 그 잠깐의 시간 동안 얼마나 뻘줌하던지요.
미리 결제 방법까지 알아두고 가면 자연스럽게 할 수 있을테고 행사나 인터넷 결제에 사용하기에는 카카오페이만한게 또 없어서 사용방법 미리 한번 보겠습니다.
카카오페이 사용법, 결제방법
카카오페이는 카카오톡에 들어가서 우측 하단의 점3개 메뉴를 클릭하면 프로필 사진 밑에 있습니다.
결제를 하기 전에는 미리 금액을 충전하거나 금액이 부족할 때 자동으로 금액을 당겨 올 계좌 연결이 필요한데요. 제가 빨간색 점으로 찍어 놓은 금액 부분을 클릭합니다.
저는 현재 만원이 충전되어 있으며 계좌 또한 연결되어 있는데요.
충전하는 방법은 빨간점이 하나 찍혀 있는 충전 버튼을 눌러서 카카오페이로 이체를 하시면 충전이 됩니다.
하지만 매번 충전해 쓰기는 번거롭고 계좌를 연결해두면 충전 또한 연결계좌에서 바로 넘어오기에 상당히 편하기 때문에 빨간점 2개를 찍어 놓은 연결계좌 부분을 클릭해서 계좌 등록을 합니다.
저는 현재 카카오뱅크를 사용하고 있어서 카뱅을 등록했는데 아무 계좌나 관계는 없습니다.
그 후에 빨간점이 3개 찍힌 결제 버튼을 누르면 편의점이나 각종 오프라인 사용처에서 결제를 할 수 있는데요.
아마 이 화면이 뜨셔서 많이 당황하셨을 겁니다.
하단의 카메라 부분은 제가 바코드를 찍거나 qr코드를 찍는 경우에 사용하는 칸인데 저는 아직까지 사용해 본 적이 없습니다.
상단의 결제 시작하기, 결제 코드를 만든 후 사용가능합다. 밑에 있는 확인 버튼을 누르면 이용동의가 나오고 이용동의 과정을 거치고 나면 내 바코드와 QR코드가 나오는데요.
편의점 직원 혹은 햄버거집 직원이 제 휴대폰에 있는 바코드를 포스기에 있는 바코드 스캐너로 찍으면 결제가 되는 방식입니다. 삼성페이가 카드결제기에 휴대폰을 가져다 대는 것과는 전혀 다르죠.
대부분 위의 사진 같은 화면에서 다음 단계로 못넘어가서 결제 하지 못하는데 단순히 확인 버튼 몇번 눌러주시면 됩니다.
카카오페이 송금받기, 송금하기
저는 카카오뱅크를 사용하고 있고 카카오뱅크에서도 카톡 친구에게 돈을 보낼 수 있으며 그걸 받은 친구는 본인이 원하는 계좌번호를 입력하고 돈을 받을 수 있어 저는 개인적으로 페이보다는 뱅크가 더 편하다고 생각을 하는데요.
뱅크의 경우에는 받기 버튼을 누르면 페이로 들어가고 페이에서 다시 계좌로 보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입니다. 더군다나 수수료도 10회 제한이라서 만일 10회가 넘어간다면 수수료도 아까울 것 같네요.
아무튼 받기 버튼울 누릅니다. 받는건 이렇게 끝인데 이제 내가 쓰는 계좌로 보내는 방법을 알아야 겠죠?
카카오톡 메인화면 맨 우측 메뉴로 들어오면 아까와 같이 10,000원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죠? 현재 제가 받은 돈이 10,000원이라는 뜻입니다.
여기서 바로 송금 버튼을 눌러도 되지만 더 자세한 화면을 보려면 금액부분을 클릭합니다.
송금버튼을 클릭합니다.
카카오톡 친구에게 보내는 기능이 있는데 이렇게 보낸다면 상단에 있는 것 처럼 친구에게 돈이 도착했다며 받으라는 카톡이 가게 됩니다.
하지만 카카오페이에서도 다른 은행 계좌로 보낼 수 있는데요.
상단에 계좌번호를 클릭하고 은행과 계좌번호 입력을 한 뒤에 보내면 완료입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행사때나 인터넷 결제때만 이용을 하고 있는데 제가 결제해야 할 금액이 4천원이면 카카오페이가 충전을 만원단위로 해서 몇천원씩 남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어떤때는 딱 맞게 연결계좌에서 빠져나가는데 어떤때는 만원단위로 충전해서 빠져나가서 남은 잔액들을 다시 제 계좌로 돌려보내는 작업을 할 때가 있어 저렇게 제 계좌가 현재 즐겨찾기가 되어 있습니다.
저도 자주 사용하지 않다 보니 어떤 경우에 만원 단위 충전이 이루어 지는지 모르겠지만 엄청 불편한 기능중에 하나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