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사구팽(兎死狗烹)은 중국 춘추시대의 이야기에서 유래된 고사성어로, "토끼 사냥이 끝나면 사냥개를 삶아 먹는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속담은 비정한 인간 세상을 꼬집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한나라 명장인 한신은 항우를 물리치고 유방이 천하를 통일하는 데 큰 공을 세웠습니다. 그러나 그가 유방에게 오해를 받아 망하게 되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한신이 유방에게 목을 베어 올리는 제안을 거절한 종리매라는 뛰어난 장수가 있었는데, 유방은 이 종리매에게 원한이 있어서 한신에게 그의 목을 베어 오라고 명령했습니다. 하지만 한신은 종리매를 아까운 장수로 여겨 그의 목을 베지 않았습니다. 이로 인해 유방은 종리매의 죽음에 대해 오해하고 한신을 붙잡아 잡게 됩니다.
한신은 종리매가 자결한 이유와 유방의 오해를 깨기 위해 토사구팽이라는 속담을 했습니다. 이 속담은 종리매의 목을 희생한 데도 불구하고 유방에 대한 의심을 풀지 못했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나타냅니다. 이러한 이야기를 통해 비정한 세상에서는 필요할 때는 중요하게 대우되지만 필요 없어지면 무시당하는 현실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토사구팽이란 고사성어는 말 그대로 사냥이 끝나면 토끼를 잡아먹고 사냥개는 버린다는 이야기이지만, 비유적으로는 현실세계에서는 필요한 순간에만 인정받고 그 외에는 소외되는 경우가 있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서로의 도움을 받고 있을 때는 누구나 친절하고 인정해 주지만, 필요가 없어지면 이전과 다르게 대우할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토사구팽이라는 고사성어는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에서 비정한 면모를 간접적으로 비추고, 인간관계에서 서로에 대한 배려와 이해의 중요성을 상기시켜주는 속담입니다. 이야기의 맥락과 함께 살펴볼 때, 자신의 행동과 태도를 늘 되새기며 인간관계에서 더욱 따뜻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토사구팽 뜻
1. 다음사전 홈페이지로 들어갑니다.
2. 사전 검색창에 토사구팽을 검색합니다.
3. 토끼가 죽고나면 토끼를 잡던 사냥개도 필요 없게 되어 주인이 삶아 먹는다는 뜻으로 필요할 때는 쓰고 필요 없을 때는 버리는 경우를 이르는 말입니다.
4. 아래 부분에도 같은 설명이 적혀 있고 예시로는 평생 일한 직장에서 토사구팽을 당하다 가 나와있네요.
댓글